2025년 최저시급 인상률
2025년의 최저시급률은 2024년에 비해 1.7% 인상으로 2018년부터 현재까지 두 번째로 낮은 인상률입니다.
인상률이 가장 높았던 연도는 2018년으로 16.4%였는데요. 올해는 정말 낮은 인상률이었군요. 물가는 고공행진인데 말이죠.
실수령액
월급을 계산할 때는 소득세, 국민연금, 건강보험료, 고용보험료 등 4대보험 등의 공제에 따라 실수령액이 달라집니다.
이는 개인의 공제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
최저임금의 실수령액
최저임금의 세전 연봉은 25,155,240원입니다. 여기에서 4대보험을 적용하면 실수령액은 22,700,000원 정도 됩니다.
월 실수령액은 1,892,000원 정도가 되는 것이지요.
이는 개인의 추가적인 공제 혜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
5인 미만 사업장에도
상시근로자가 5인 미만이더라도 최저임금 이상의 급여가 지급되어야 하는데요. 최저임금보다 적은 금액을 지급할 경우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,000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어요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w6ql5/btsMckev4yj/xw4JRNojOuKF7KnEKFLed0/img.png)
그리고 하루만 일을 하더라도 근로계약서는 작성을 해야 한다는 것도 알아두시면 좋을 듯합니다.
이상으로 2025년 최저시급 인상률 10,030원으로 결정된 내요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.
'규정 및 정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년 증여세 공제 기준 및 한도 상속세 계산 (0) | 2025.02.08 |
---|---|
23년도 1학기 국가장학금 2차 신청 대상,기간,방법,지원금 알아보기 (0) | 2023.05.03 |
2023년 신설된 4가지 국가자격증 정보 알아보기 (0) | 2023.02.18 |
2023년 부가세 신고기간 및 납부기간 알아보기 (0) | 2023.02.13 |
2023년 최저시급·월급·연봉 총정리(세전/세후) (0) | 2023.02.11 |
댓글